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및 이자율,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 방법 정리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청년들을 위한 금리우대형 통장으로, 이에 대한 가입조건과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이자율과 비교 가능한 근로장려금 적금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을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의 나이
- 병역 이행 기간이 최대 6년을 제외한 나이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 연 3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 사업소득, 기타소득이 있는 경우
- 무주택인 세대주이거나, 무주택이며 가입 후 3년 내 세대주 예정자, 무주택세대의 세대원이어야 합니다.
또한,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 신청용 서류로는 소득확인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주민등록등본 또는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가 필요합니다.
- 2023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 방법과 지원 내용
-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 청년 전세자금대출 금리 조건과 신청 방법
-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참여 자격 및 신청 방법(+ 청년 자산 형성)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이자율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이자율은 가입 기간 내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 납입원금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신규 가입 후 2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우대 이율 1.5%를 적용합니다.
무주택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에는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자율에 추가적으로 0.3%의 우대 이율이 적용됩니다. 단, 가입 기간 중 주택을 취득한 경우에는 가입 기간 내 무주택 기간만큼 우대 이율이 적용됩니다.
비교 가능한 근로장려금 적금
청년우대형 청약통장과 유사한 상품으로는 근로장려금 적금이 있습니다.
근로장려금 적금은 근로자들이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면서 동시에 적금을 할 수 있는 상품으로, 근로자들의 노후자금 마련을 위한 대안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KB, NH, SC, SH, 우리 등의 은행에서 근로장려금 적금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자율과 가입 조건은 각 은행마다 다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 방법
기존에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가입하였다면,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전환하기 위해서는 가입한 은행을 방문하여 전환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단, 전환 신청일로부터 1년 이내에는 예금을 인출할 수 없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리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은 청년들이 주택 구매를 위해 무주택 기간을 충족하면서도 이자율을 높여주는 상품으로, 노후자금 마련에 도움이 되는 근로장려금 적금과 함께 고려할 만한 상품입니다. 가입 조건과 이자율을 꼼꼼히 확인한 후, 주택 구매를 위한 자금 마련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