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신청방법 (2023년) 4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신청방법 (2023년)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7/0001-220.jpg)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의 시작
장애인들이 경제적, 건강적, 그리고 사회활동에서 일반인에 비해 불리한 상황에 처하기 쉽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경기도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그들의 가치를 높이는 활동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장애인 기회소득’을 도입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장애인 기회소득의 정의 및 목적
장애인 기회소득은 사회 참여가 어려운 장애인들에게 활발한 참여 동기를 부여하고, 그들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기도 내의 만 13세에서 만 64세까지의 중증 장애인 2,000명을 선발하고, 그들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정책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신청방법 (2023년) 6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 신청방법 (2023년)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7/0002-149.jpg)
지원 대상과 지급 방법
선발된 장애인들에게는 스스로 이룃한 가치에 대한 보상으로, 건강증진 활동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워치가 제공됩니다.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매주 2회 1시간 이상 목표를 달성할 경우, 월 50,000원의 기회소득을 6개월 동안 현금으로 지급하게 됩니다.
장애인 기회소득의 활용법
장애인 기회소득은 여러 방면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운동, 문화, 여가, 교육, 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도를 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는 다음과 같은 활동들이 포함됩니다:
- 운동: 소풍, 체조, 숲체험, 농촌 및 농장 체험, 체중 관리, 식습관 조절
- 문화: 전시회 방문, 공연 관람, 영화 감상, 스포츠 관람
- 여가: 사진 촬영, 여행, 공연 관람, 영화 감상
- 교육·봉사: 반려 식물, 북아트, 악기 학습, 봉사 활동 등
또한, 경기도는 장애인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기회경기관람권: 스포츠 소외계층의 관람 기회 확대를 위해 관람료의 75%를 지원
- 기회공연관람권: 경기아트센터 4개 예술단의 레퍼토리 시즌 공연 관람료의 75%를 지원
- 장애인스포츠강좌이용권: 장애인들이 운동을 통해 활기찬 삶을 향유하기 위한 스포츠 복지제도로 1인당 매월 95,000원까지 지원
- 경기도 치유농업체험: 치유농업 전문가와 함께 농장·자연에서 치유 활동을 하며, 심신 안정을 도모하도록 돕는 사회서비스 사업
- 복지시설 재활프로그램: 물리치료, 발달재활서비스 등 장애인복지관 내 상담 및 교육·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경기도청 홈페이지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청 내에 장애인 기회소득 안내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