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윤리 이론 4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윤리 이론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3/공리주의-최대-다수의-최대-행복.png)
공리주의는 고전적인 규범 윤리 이론 중 하나로,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그리고 그의 아들인 존 스튜어트 밀 등이 있다. 이 이론은 경험론이 득세했던 영국을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명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공리주의의 핵심 개념
1.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공리주의의 핵심 개념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곧, 행동이 선하고 정의로운 것은 최대 다수가 최대한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2. 결과주의
- 공리주의는 결과주의의 한 종류이다. 결과주의란 “가장 좋은 결과를 불러올 행동을 해야 한다”는 윤리 이론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3. 행복의 원리
- 공리주의는 “최대 행복의 원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모든 행동은 최대한의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는 원리를 내포한다.
공리주의의 비판과 대안 이론
1. 규칙 공리주의
- 규칙 공리주의는 행동 공리주의와 대비되는 이론으로, 어떤 행위 규칙이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주는가를 옳고 그름의 척도로 삼는다.
2. 비고전적 공리주의
- 비고전적 공리주의는 공리주의의 기본 개념을 받아들이지만, 쾌락에 대한 시각을 다르게 한다. 선호 공리주의는 쾌락이 행복의 전부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3. 소극적 공리주의
- 소극적 공리주의는 쾌락과 고통의 인식론적 도덕 비대칭성을 해결하려는 수정 공리주의로, 쾌락의 최대화보다는 고통의 최소화를 주장한다.
공리주의의 적용과 한계
1. 개인과 집단의 관계
- 공리주의는 개인의 행복 총합의 최대화를 추구한다. 따라서 개인의 행복보다 집단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사상은 아니다.
2. 사회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
- 공리주의는 정책 형성에 명확한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기초가 된다.
3. 공리주의의 한계
- 공리주의는 임의로 서로 다른 사람들의 행복을 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리 괴물과 같은 사고실험은 부조리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결론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윤리 이론으로, 결과주의와 행복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다. 하지만 규칙 공리주의나 비고전적 공리주의 등의 대안 이론이 제시되며, 그 적용과 한계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리주의는 윤리 이론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와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