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윤리 이론

공리주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위한 윤리 이론 7

공리주의는 고전적인 규범 윤리 이론 중 하나로,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제러미 벤담과 제임스 밀, 그리고 그의 아들인 존 스튜어트 밀 등이 있다. 이 이론은 경험론이 득세했던 영국을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명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공리주의의 핵심 개념

1.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공리주의의 핵심 개념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이는 곧, 행동이 선하고 정의로운 것은 최대 다수가 최대한 행복을 느끼게 하는 것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2. 결과주의

  • 공리주의는 결과주의의 한 종류이다. 결과주의란 “가장 좋은 결과를 불러올 행동을 해야 한다”는 윤리 이론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다.

3. 행복의 원리

  • 공리주의는 “최대 행복의 원리”를 중요하게 여긴다. 이는 모든 행동은 최대한의 행복을 가져다 주어야 한다는 원리를 내포한다.

공리주의의 비판과 대안 이론

1. 규칙 공리주의

  • 규칙 공리주의는 행동 공리주의와 대비되는 이론으로, 어떤 행위 규칙이 최대의 행복을 가져다주는가를 옳고 그름의 척도로 삼는다.

2. 비고전적 공리주의

  • 비고전적 공리주의는 공리주의의 기본 개념을 받아들이지만, 쾌락에 대한 시각을 다르게 한다. 선호 공리주의는 쾌락이 행복의 전부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3. 소극적 공리주의

  • 소극적 공리주의는 쾌락과 고통의 인식론적 도덕 비대칭성을 해결하려는 수정 공리주의로, 쾌락의 최대화보다는 고통의 최소화를 주장한다.

공리주의의 적용과 한계

1. 개인과 집단의 관계

  • 공리주의는 개인의 행복 총합의 최대화를 추구한다. 따라서 개인의 행복보다 집단의 행복을 우선시하는 사상은 아니다.

2. 사회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

  • 공리주의는 정책 형성에 명확한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기초가 된다.

3. 공리주의의 한계

  • 공리주의는 임의로 서로 다른 사람들의 행복을 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리 괴물과 같은 사고실험은 부조리한 결과를 보일 수 있다.

결론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하는 윤리 이론으로, 결과주의와 행복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다. 하지만 규칙 공리주의나 비고전적 공리주의 등의 대안 이론이 제시되며, 그 적용과 한계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리주의는 윤리 이론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사회와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Previous Post
신용보증재단중앙회 11

신용보증재단중앙회

Next Post
계몽주의, 현대 세계관을 뒤흔든 사상의 파도 13

계몽주의, 현대 세계관을 뒤흔든 사상의 파도

Related Posts
원더풀 월드 권선율(차은우) 55

원더풀 월드 권선율(차은우)

목차 Hide 원더풀 월드 권선율(차은우)차은우 연기력차은우 외모와 매력결론관련 글 모아보기 ↓ MBC 금토드라마 <원더풀 월드>에서 권선율 역으로 활약…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