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한 가을이 찾아오면서 옷장 속에 쌓여있는 헌옷들을 정리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작은 양의 헌옷이라면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이 될 것입니다. 이럴 때, 헌옷수거함을 활용하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헌옷수거함을 찾는 방법부터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없는 품목, 그리고 헌옷이 많을 경우 돈을 받고 버리는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의류수거함 배출 기준, 버릴 수 있는 것과 버릴 수 없는 것들 4 의류수거함 배출 기준, 버릴 수 있는 것과 버릴 수 없는 것들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11/0001-56.webp)
헌옷수거함 위치 찾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헌옷수거함은 주로 아파트 분리수거장 근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헌옷수거함을 찾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 가지 간편한 방법이 있습니다.
- 120다산콜센터 이용: 본인의 지역번호와 ‘120’을 눌러서 전화나 문자로 헌옷수거함 위치를 문의할 수 있습니다. 각 지역에 맞는 다산콜센터를 활용하세요.
- 지자체 홈페이지: 거주하는 지역의 홈페이지에서 헌옷수거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자체마다 수거함 위치를 제공하고 있으니 해당 정보를 찾아보세요.
헌옷수거함 배출 기준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품목과 넣을 수 없는 품목에 대한 기준을 알아봅시다.
수거 가능한 품목:
- 입을 수 있는 정도의 옷
- 신발 두 켤레
- 새 것 같은 속옷
- 커튼, 담요
- 가방, 천이불 등
수거 불가능한 품목:
- 신발 한 쪽
- 찢어진 옷
- 착용감 있는 속옷
- 솜으로 된 이불이나 인형 등
※ 너무 헤지거나 구멍이 나는 경우, 해외로 수출될 때 감안하여 양심적으로 판단하세요.
![의류수거함 배출 기준, 버릴 수 있는 것과 버릴 수 없는 것들 6 의류수거함 배출 기준, 버릴 수 있는 것과 버릴 수 없는 것들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11/0001-57.webp)
의류 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것
가을이 도래하면서 옷장 속을 정리하면서 “이런 옷을 입고 다녔었나?”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입지 않는 헌옷을 처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옷의 상태에 따른 처리 방법:
-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기: 변형이 심하거나 다른 사람이 입을 수 없을 정도라고 판단되면 일반 쓰레기처럼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립니다.
- 비영리 단체에 기부 또는 의류수거함에 넣기: 깨끗한 상태의 옷은 비영리 단체에 기부하거나 의류수거함에 배출할 수 있습니다. 재판매가 가능한 가치가 있는 옷일 경우에 한해 해당됩니다.
의류수거함 배출 가능/불가 품목
의류수거함에 넣을 수 있는 품목과 넣을 수 없는 품목을 정확히 알고 사용하면 효율적입니다.
배출 가능 품목:
- 상의, 하의, 코트, 점퍼, 원피스
- 모자, 가방, 신발, 벨트 등
배출 불가 품목:
- 솜이불, 솜베개
- 방석, 전기장판
- 실내화, 장화
- 캐리어, 인라인스케이트
- 인형, 골프가방 등
※ 의류수거함 겉에 품목 안내가 있으니 확인 후 배출하세요.
돈 받고 헌옷 버리는 방법 – 리클 서비스
헌옷이 너무 많아 부피가 크고 무게도 나간다면 돈을 받고 헌옷을 수거해주는 서비스를 이용해보세요. 최근에 등장한 ‘리클’ 앱을 통해 간편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리클 앱 이용: 회원가입 후 수거신청을 선택하여 의류 개수, 주소, 수거 일자, 입금받을 계좌번호, 연락처를 입력하면 됩니다.
- 서비스 지역 확인: 현재 리클은 서울 전지역과 일부 경기도 지역에서 직접 수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헌옷을 버리지 말고 ‘리클’을 통해 쉽고 빠르게 처리해보세요. 간단한 신청과정으로 편리하게 헌옷을 정리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환경보호에도 기여하는 좋은 방법이니, 많은 이용 부탁드립니다. 헌옷 정리는 환경과 사회에 작은 선물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