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증은 건강검진 결과를 인증하는 중요한 서류 중 하나로, 인터넷을 통해 발급 및 재발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보건증의 발급 및 재발급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유효 기간과 관련된 정보도 제공하겠습니다.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 방법 알아보기 4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 방법 알아보기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10/다운로드-1-14.webp)
1.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인터넷을 통한 보건증 발급은 번거로운 병원 방문을 줄일 수 있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다음은 발급 과정입니다.
- 보건소 방문: 먼저 보건소를 방문하여 건강검진을 받으세요.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검사는 5분 정도 소요됩니다. 검사비는 3,000원이며, 추가 간염 검사는 8,670원입니다.
- G-Health 공중보건 포털 접속: 온라인으로 발급받거나 g-health 공중보건 포털을 검색하여 포털사이트에 접속하세요.
- 인증서 발급 탭 선택: 화면 상단의 온라인 민원 카테고리에서 인증서 발급 탭을 선택합니다.
- 식별자 입력: 주민등록번호와 성함을 입력하고, 본인 확인을 위해 공동 인증서, 아이핀, 디지털 원패스, 휴대전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세요.
- 건강검진 결과 선택: 인터넷 발급 가능한 제 자격증 중 건강검진 결과(구 보건증)를 선택하고, 접수번호를 클릭하세요.
- 인터넷 건강증명서 발급 완료: 신청 건수, 발급 목적을 선택하고 신청 버튼을 클릭하면 발급이 완료됩니다. 발급된 건강 진단서는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은 검사일로부터 1년입니다.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 방법 알아보기 6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 방법 알아보기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10/다운로드-2-13.webp)
2. 보건증 재발급 방법
보건증의 유효 기간이 지났거나 재발급이 필요한 경우, 다음 방법을 이용하세요.
- 보건소 방문: 유효 기간 내에 보건증 재발급이 가능하며,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시면 신분증을 제시하고 300원의 재발급 수수료를 지불하면 즉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으로 재발급: 온라인으로도 재발급이 가능하며,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
- G-Health 공중보건 포털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 인증서 발급 탭을 클릭하고 개인정보를 입력합니다.
- 발급 가능한 서류 목록에서 발급받은 건강증명서 접수번호를 클릭합니다.
- 발급 목적을 입력하고 간단한 절차를 거친 후 발급이 완료됩니다.
결론
인터넷을 통한 보건증 발급과 재발급은 더 편리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보건증을 필요로 할 때, 위의 단계를 따라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유효 기간을 잘 확인하여 불편을 방지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