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3 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2](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5/0003-16.png)
서울시는 지하철 이용자들이 도착역을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난 4월부터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을 표기하는 개선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에 이어 이번에는 전동차 내 행선안내기의 화면표기법을 개선하여 지하철 이용의 편리성을 높이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번 개선으로 지하철 이용자들은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방식으로 도착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종종 행선안내기의 정보 표시 방식으로 인해 혼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구형 전동차의 경우, 부가정보 위주로 안내되기 때문에 도착역명을 놓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행선안내기의 정보 표시 방식을 개선하여 도착역을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지하철 도착역 확인의 어려움
지하철을 이용하는 도중에 휴대폰을 보거나 이어폰을 사용하다가 갑자기 “여긴 어디지?”라는 의문이 드는 경우를 많이 겪으셨을 것입니다.
현재의 행선안내기 정보 표시 방식으로는 도착역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시민들의 불만이 있었습니다. 특히 구형 전동차의 경우 광고 면적이 너무 크고 부가정보 위주로 안내되어 도착역명을 놓치면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 표기
서울시는 먼저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을 표기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열차 창문을 통해 도착역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작업은 이미 4월부터 시작되어 진행 중이며, 시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첫 단계입니다.
전동차 내 행선안내기 개선
지금까지 승강장안전문을 통해 도착역명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전동차 내부에서는 여전히 정보 파악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전동차 내 행선안내기의 화면표기법을 개선하여 도착역을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불필요한 문구는 간소화하고 역이름을 더 간결하게 표출할 예정입니다.
간소화된 표시 방식으로 변경
기존의 행선안내기에서는 도착역 정보를 표시할 때 ‘이번역은’, ‘○○행으로 가실 고객께서는’ 등의 문구가 3초 이상 표시되었고, 영문으로도 부가정보가 3초 이상 표시되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시민들이 도착역명을 놓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개선된 표시 방식에서는 이러한 불필요한 문구를 삭제하고, 역 이름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구형 전동차 교체 작업
먼저 구형 전동차가 많이 운행되는 2·4호선에서부터 교체 작업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이 작업은 올해 7월 말까지 완료될 계획입니다. 구형 전동차를 대상으로 행선안내기 정보 표시 방식을 개선하고, 이후에는 신형 전동차와 다른 호선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열차 내 행선안내기 개선
열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행선안내기는 도착역과 환승역 정보 등을 알려주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현행 행선안내기의 정보 표시 방식으로는 도착역 정보를 즉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시민들의 불만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개선된 행선안내기에서는 부가정보 안내문구를 간소화하고, 불필요하거나 중요성이 낮은 문구는 최소한으로 표출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2호선의 경우 ‘이번역은’ 등의 문구를 삭제하고 역 이름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또한 4호선의 경우 도착역명을 LED 상단에 고정하고 하단에 부가정보를 표출하여 언제나 도착역명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2호선 행선안내기 · 4호선 행선안내기
![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5 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4](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5/0001-18.png)
![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7 지하철 '이번역' 확인 쉬워진다! 도착역 안내화면 개선 6](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5/0002-16.png)
문제점과 개선 방향
기존의 행선안내기 정보 표시 방식에서는 도착역 정보를 즉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습니다. 특히 구형 전동차의 경우 광고 면적이 너무 크고 부가정보 위주로 안내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개선 작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 불필요한 문구의 간소화: 도착역 정보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불필요한 문구들을 삭제하고, 역 이름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 역 이름의 간결하고 오래 표출: 역 이름을 간결하게 표시하고, 오랫동안 표출되도록 설정하여 시민들이 도착역을 놓치지 않도록 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개선 방향을 통해 시민들의 행선안내기에 대한 불만을 해소하고, 지하철 이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영문 표출 비율 변경
기존의 행선안내기에서는 국문과 영문의 표출 빈도가 동일하였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영문이 국문보다 긴 문장이 많아 영문 표출 시간이 국문보다 더 긴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이번 개선 작업에서는 국·영문 표출 비율을 변경하여 국문 역명이 더 자주 표출되도록 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2호선의 경우 국문 도착역명 표출 시간이 15초에서 59초로, 4호선의 경우 52초에서 95초로 표출 시간을 늘릴 예정입니다.
계획과 일정
시민들의 불편 민원이 집중되는 2·4호선 구형 전동차부터 행선안내기 정보 표시방식을 개선할 예정입니다. 이 작업은 7월 말까지 진행되며, 이후에는 신형 전동차와 다른 호선에도 순차적으로 개선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시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일정을 따라 신속하게 개선 작업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창의 행정 우수 아이디어 공모
서울시는 일상 속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창의 행정 우수 아이디어 공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중 ‘지하철 도착역 정보 시인성 개선’이라는 아이디어가 우수 아이디어로 선정되어 관련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울시는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 표지판 설치
지난 4월부터 이미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 표지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열차 창문을 통해 도착역명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작업은 현재 진행 중이며,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기대효과와 마무리
지하철 도착역 확인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이번 개선 작업은 시민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노력입니다. 개선된 행선안내기는 도착역명을 간결하게 표시하고, 불필요한 문구를 최소화하여 시민들이 도착역을 놓치지 않게 도와줄 것입니다.
또한 국·영문 표출 비율 변경을 통해 국문 역명의 표출 빈도를 높일 예정이며, 역 내부의 행선안내기 개선 작업은 구형 전동차부터 시작하여 신형 전동차와 타 호선으로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지하철 이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하고, 보다 편리한 도시교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결론
서울시는 지하철 도착역 확인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승강장안전문과 전동차 내 행선안내기의 개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역 이름의 간결하고 오래 표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며, 국·영문 표출 비율을 조정하여 국문 역명의 표출 빈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지하철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시민들의 불편을 해소할 것입니다.
FAQs
1. 이번 개선 작업은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이번 개선 작업은 이미 4월부터 승강장안전문에 도착역명 표지판을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2. 개선된 행선안내기는 어떻게 도착역을 표시하나요?
개선된 행선안내기에서는 역 이름을 간결하게 표시하며, 불필요한 문구는 최소화하여 도착역명을 더 직관적으로 표시합니다.
3. 구형 전동차와 신형 전동차에 대한 개선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먼저 구형 전동차에서부터 개선 작업을 시작하여 순차적으로 신형 전동차와 다른 호선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4. 국·영문 표출 비율 변경은 어떤 의미인가요?
기존에는 국문과 영문의 표출 빈도가 동일했습니다. 개선 작업에서는 국문 역명의 표출 빈도를 높이기 위해 국·영문 표출 비율을 조정할 예정입니다.
5. 개선 작업은 언제까지 완료될 예정인가요?
구형 전동차를 대상으로한 개선 작업은 올해 7월 말까지 완료될 예정입니다. 그 이후에는 신형 전동차와 다른 호선으로 순차적으로 개선 작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