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양이의 시각 인지 능력
야생에서의 생존을 위해 주로 야간 활동을 하던 고양이는 물체의 형태를 디테일하게 인식하기보다는 그 존재와 움직임을 파악하는 능력에 초점을 두며 진화해왔습니다. 이 때문에 고양이의 시력은 사람과는 약간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4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7/편집_img-47.webp)
사람의 눈은 세 가지 색상을 인지하는 추상체 세포를 가지고 있지만, 고양이는 두 가지 색상, 즉 녹색과 청색만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녹색과 청색 사이의 색상인 노란색은 구별하지 못합니다.
더욱이 고양이의 망막은 사람의 것과는 다르게 조직화되어 있지 않으며, 신경절 세포는 쌍극 세포와 임의로 결합되어 있습니다.
2. 고양이의 시각 정보 처리 과정
고양이가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은 대부분의 동물들과 비슷합니다. 고양이의 시각 정보 중 대략 1/10만이 반사 중추로 전달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정보는 뇌로 전달되기 전에 중계하는 세포를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고양이는 대뇌의 정보 처리 과정 없이도 순간적으로 시각 정보에 대한 몸의 반응을 일으키며, 다른 동물들과 달리 광범위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6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7/편집_img_1-46.webp)
3. 고양이의 회전 능력
고양이는 생태계에서 가장 뛰어난 회전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고양이가 등을 땅으로 하고 얼굴을 하늘로 향하게 되면, 60cm의 공간만 있으면 완전히 한 바퀴 돌 수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의 뛰어난 유연성과 균형감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4. 고양이의 TV 시청 습관
고양이가 TV를 보는 방식은 사람과는 많이 다릅니다. 고양이의 시력은 사람보다 높은 정밀 명멸융해점을 가지고 있어, TV 화면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선을 잘 감지합니다. 이에 따라, 고양이는 TV에서 스크롤링 라인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시청하곤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보기에 고양이가 TV를 보며 황홀해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8 고양이 시각 인지 능력과 텔레비전 시청 특성 7](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7/편집_img_2-32.webp)
고양이의 독특한 시각 인지 능력과 TV 시청 습관을 이해하면, 우리는 그들의 세계를 조금 더 이해하게 되며, 이로 인해 그들과 더욱 풍요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