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 지원 제도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

청년들의 주거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항상 큰 이슈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도시에서 생활하는 청년들은 집 값이 비싸서 주거 문제에 더 큰 고민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최근 청년 주거 지원 제도를 통해 청년들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청년 주거 지원 제도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 7
청년 주거 지원 제도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 9

청년 주거 지원 제도에는 공공임대와 민간임대 주택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가지 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공임대주택

청년 주거 지원 제도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이 공공임대주택입니다. 공공임대주택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지원하는 청년 주거 지원 제도입니다.

공공임대주택의 신청 조건은 대학생 또는 만 19세 ~ 39세 이하의 미혼 청년으로 소득은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의 100% 이하이고 자산은 3억 2,500만 원 이하입니다. 차량 미소유 및 미운행자이며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공공임대주택은 신청을 통해 주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약 기간은 2년이며 자격 유지 시 최대 3회 재계약이 가능합니다. 8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민간임대주택

공공임대주택 외에도 민간임대주택도 있습니다. 민간임대주택은 공공임대주택과 달리 민간 부동산 업체들이 운영하는 주택입니다.

민간임대주택의 신청 조건은 대학생 또는 만 19세 ~ 39세 이하의 미혼 청년으로 소득은 일반공급(소득, 지역 따지지 않고 추첨) 또는 특별공급(소득 120%, 자산 2억 8,800만 원 이하)이며 자산은 3억 2,500만 원 이하입니다. 차량 미소유 및 미운행자이며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민간임대주택은 공공임대주택과 비교해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지역에 따라 지원하는 임대료 수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공공임대주택에 비해 지원 대상이 더 다양합니다. 하지만 공공임대주택에 비해 대기 시간이 길어지거나 지원되는 주택의 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민간임대주택은 신청 방법이 공공임대주택과 다릅니다. 주변 시세 대비 85%~85%의 수준의 임대료로 지원되며, 계약 기간은 2년입니다. 자격 유지 시 최대 3회 재계약이 가능하며, 최장 8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민간임대주택은 신청 방법이 다양합니다. SH 또는 역세권청년주택 홈페이지에서 공고를 확인한 후, 각 사업주체 홈페이지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 전세임대

청년 전세임대는 청년이 기존 주택을 물색해 오면 LH가 전세계약을 체결한 후, 청년에게 재임대하는 방식입니다.

청년 전세임대의 신청 조건은 대상이 19세 ~ 39세 이하이며 대학생 또는 취업 준비생 중 하나여야 합니다. 무주택 또는 미혼이어야 합니다.

청년 전세임대는 최대 1.2(단독거주) ~ 2억 원(공동거주)까지 전세금을 지원해줍니다. 보증금은 100~ 200만 원이며 연 1~2%의 이자를 월세로 납부합니다. 임대료는 시중 시세 대비 40 ~ 50% 수준으로 지원되며, 계약 기간은 2년입니다. 자격 유지 시 최대 2회 재계약이 가능하며, 최장 6년까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청년을 위한 주거 지원 제도는 청년들이 주거 문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공공임대주택, 민간임대주택, 청년 전세임대 등 각종 주거 지원 제도를 통해 청년들의 주거 문제가 조금 더 해결되길 바랍니다.

관련글 바로가기

2023년 역세권청년주택(공공임대주택) 입주자격 신청방법과 임대료 수준 분석

정부지원 청년전용 보증부 전세 월세 보증금 대출 조건

비정상거처 이주지원을 위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안내

Previous Post
2023년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신청방법과 조건 15

2023년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혜택 신청방법과 조건

Next Post
애플페이 -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까? 17

애플페이 –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까?

Related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