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설명과 납입기간: 청년도약계좌는 60개월 동안의 납입기간을 가지며, 월 최대 70만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
정부기여금: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정부기여금이 지급되며,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종 이자율은 5.5%입니다. 단, 최대금리인 6%에서 소득우대금리 0.5%를 제외한 수치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4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6/0003-23-745x1024.jpg)
이자율 변동: 3년 후에는 변동금리로 전환되며, 해당 시점의 기준금리와 기존의 우대조건 금리를 적용합니다. 3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그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는 연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이 1600만 원 이하일 때 제공되며, 1년마다 심사를 거쳐 지급 또는 박탈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6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6/0004-20.jpg)
공시금리 혜택: 5년간(5회) 모두 충족할 경우 공시금리의 100%를, 4년간(4회) 충족할 경우 80%를, 1년만(1회) 충족할 경우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며(군복무기간 포함시 +2년), 국세청에서 소득금액 증명이 가능해야 합니다. 또한, 청년소장펀드,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체공 등 다른 지자체 지원상품과 동시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청년희망적금과는 동시에 가입할 수 없으며, 가입자의 국적이 대한민국 국민이 아닌 경우 정부기여금은 받을 수 없으나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8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7](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6/0001-55.jpg)
가입방법: 청년도약계좌는 출시 직후 첫 5영업일 동안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5부제를 실시하며, 이후 매월 2주간 가입을 받습니다. 가입은 은행 어플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은 확인을 위해 별도의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10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9](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6/0002-36.jpg)
Q&A: 가입 후 개인소득과 가구소득의 조건 충족 시 가입 자격은 유지되며, 개인소득은 매년 재심사됩니다. 직종이나 회사 규모에 따른 제한은 없으며, 가구당 계좌개설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신용평가 가점과 함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12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금리, 최종공시일, 상품출시일, 가입조건 및 혜택 11](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3/06/0005-18.jpg)
이와 함께 신용평가 가점이 부여되고 정책금융으로 지원되는 여신상품을 이용할 경우 우대금리가 적용되며, 현재는 햇살론, 유스 도약계좌 등과 연계하여 노후 대비 자산 형성을 할 수 있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