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술축미(辰戌丑未) 특징과 부자사주 속 지장간

진술축미(辰戌丑未) 특징과 부자사주 속 지장간

진술축미(辰戌丑未)의 4가지 토 오행

진술축미(辰戌丑未)는 고지(庫地)를 의미하며, 각 계절을 담고 있는 토(土) 오행 중 하나입니다. 여기에는 봄의 끝자락을 의미하는 진토, 여름의 끝자락을 의미하는 미토, 가을의 끝자락을 의미하는 술토, 겨울의 끝자락을 의미하는 축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지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
지장간여기
중기
정기
진술축미(辰戌丑未) 특징과 부자사주 속 지장간

토 오행의 각 계절과 특성

뜨거운 여름의 땅인 미토와 차가운 겨울의 땅인 축토가 모두 토(土) 오행이지만, 각 계절을 담고 있어 그 속성이 다릅니다. 이는 진술축미의 특징 중 하나로, 각 계절의 토 오행 속에는 그 계절을 지나온 흔적이 담겨 있습니다.

진술축미의 의미와 특성

진술축미는 계절의 끝자락을 담고 있어 변화와 마무리를 상징합니다. 이는 인신사해와 대립되는 느낌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진술축미가 저장과 창고의 의미를 갖는다면, 인신사해는 표출과 발산의 의미를 가지며 시작을 나타냅니다.

진술축미와 부자사주의 연관성

진술축미가 부자사주를 나타낸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토 오행을 지지에 많이 깔고 있다면 인생은 순탄하지 않고 다양한 경험을 할 것입니다. 각 계절의 환절기에 속하기 때문에, 인생도 봄에서 여름으로, 여름에서 가을로 자연스럽게 흐름될 것입니다.

진술축미(辰戌丑未) 특징과 부자사주 속 지장간

진술축미와 화개의 작용

진술축미 속 토(土) 오행은 화개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화개를 가진 사람들은 철학이나 종교에 관심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진술축미의 특성과 연결지어 볼 때,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보다 과거에 주목하는 특성이 화개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thoughts on “진술축미(辰戌丑未) 특징과 부자사주 속 지장간”

Comments are closed.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