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해일 대응 방법과 주의사항

지진해일 정의

지진해일은 해저에서의 화산폭발, 지진, 지반의 함몰 등의 지각 변동, 빙하의 붕괴, 핵실험으로 인해 발생한 재앙으로, 이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여 육지로 유입되어 인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지진해일 대응 방법과 주의사항 3

지진해일 대처요령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지진발생을 예측하는 것이 어렵지만, 지진해일에 대한 대응 전략은 해일 도착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가령 동해 북동부 해역(일본 북서근해)에서 발생한 지진은 약 1시간 30분 후에 동해안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따라서 지진해일은 예·경보 발령에 따라 신속하게 높은 곳으로 대피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해안에서의 대처 방법

만일 해안에서 강한 지진동을 경험했다면, 가까운 해역에서 지진해일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일 수 있습니다.

이 때 해안 뿐만 아니라 바닷가 낮은 지역까지도 위험하므로 즉시 높은 곳으로 대피가 필요합니다. 지진해일이 발생한 지역에서는 제 1파가 지나갔다고 해도 제 2파, 제 3파의 해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성급한 저지대로의 하강은 피해야 합니다.

안전한 행동수칙

지진해일 발생 시, 먼 바다에서 조업 중인 선박은 지진해일 경보가 해제될 때까지 항구 밖에서 대기해야 합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을 경우 항구 내의 선박도 먼 바다로 대피하는 것이 비교적 안전합니다. 항만에서는 파고가 급격히 높아지고 유속이 증가하므로 선박 운항 시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