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와 계절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

봄의 시작, 지지의 향연

한 해는 네 번의 변화, 네 계절로 나뉘며 지지가 각각의 계절을 지배한다. 이번 글에서는 계절을 중심으로 지지의 변화를 살펴보겠다. 각 계절은 3개월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 또한 그에 따라 변화한다. 1월에는 어떤 지지가, 어떤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지 살펴보자.

지지와 계절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

봄철의 시작, 인묘진

1월에는 봄이 시작되는데, 이때 지지는 “인묘진”이다. 기존의 1월이 아닌 이 특별한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봄철의 3개월을 한 눈에 이해할 수 있다. 봄의 시작은 1월이 아니라 인묘진으로 표현되며, 이로써 역리학의 세계가 얼마나 심오한지를 알 수 있다.

지지와 계절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

여름의 한가운데, 사오미

봄이 지나면 여름이 찾아온다. 여름의 3개월은 사오미로, 그 특별한 에너지와 활기를 느낄 수 있다. 여름에는 인묘진에서의 싱그러움과는 다른 즐거움이 펼쳐진다. 자연의 변화와 함께 사오미의 지지는 여름의 아름다움을 알려준다.

지지와 계절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

가을의 시작, 신유술

여름이 지나면 가을이 찾아온다. 신유술은 가을의 지지로, 그 안에는 변화와 운명의 흔적이 담겨있다. 봄과 여름이 지나고 가을로 향하는 과정에서 지지 또한 신유술로 바뀌게 되는데, 이는 자연의 순환과 운명의 흐름을 의미한다.

지지와 계절의 흐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의미

겨울의 고요함, 해자축

한 해의 마지막 계절은 겨울이다. 12월에는 해자축이라는 지지가 등장한다. 이는 겨울의 고요함과 정적인 에너지를 상징한다. 여름의 활기찬 사오미와는 다르게, 겨울은 조용하면서도 놀라운 풍경을 선사한다.

계절의 끝, 토(土)의 특별함

각 계절의 마지막 달은 3, 6, 9, 12월로, 예외 없이 진미축술이라는 오행이 토(土)로 되어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토(土)가 특별한 위치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계절의 끝에서 섞여 있는 특별함을 의미한다.

지지의 상충, 춘하추동의 흐름

계절이 바뀔 때마다 지지의 상충이 일어난다. 각 계절의 끝달들을 춘하추동의 순서로 나열하면 진미술축미가 되는데, 이는 충(沖)을 중심으로 한 상충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