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시장안정펀드 기원과 기능
증권시장안정펀드(이하 증안펀드)는 금융기관을 비롯한 다양한 조직이 기금을 출자하여 생성하는 펀드로, 금융 당국이 주도하게 됩니다.
이 펀드는 증권회사, 은행, 보험회사, 상장기업 등이 공동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증시의 불안정성이나 폭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1990년에 처음 공개된 증시안정기금(증안기금)을 시작으로 이 펀드는 4.85조 원 규모로 만들어졌습니다.
증안펀드 역사와 주요 사건
2003년에는 신용카드 대출 부실 사태로 인해 총 4,000억원의 증안펀드가 조성되었습니다. 그리고 2008년 리먼브라더스의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하여 5천억 규모의 증안펀드가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
이 때 기금 조성에는 증권선물거래소 2천500억 원, 예탁결제원 2천100억 원, 증권협회 500억 원, 자산운용협회 50억 원 등 총 5150억 원이 투입되었습니다.
증안펀드 투자 비율과 집행
펀드 자산의 투자 비율은 채권 20%와 주식 80%로, 2008년 11월 21일부터 총 5개월에 걸쳐 매월 1030억원씩 집행하였습니다.
증안펀드와 코로나19
2020년 3월에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10.7조 원 규모의 증안펀드가 추가적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이 때 5대 금융지주와 18개 금융기관, 그리고 한국거래소 등이 총 10조7000억원을 기금하여 새로운 증안펀드를 설립하였습니다.
증안펀드 현재와 미래
2022년 10월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전쟁, 미국의 공급망 재편 등으로 인해 코스피가 52주 최저치인 2200을 하회하면서 증권시장이 불안정해진 상황에서 금융당국은 증안펀드의 재가동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증권시장 안정화를 위한 증안펀드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