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 신청 방법과 조건 안내

중신용 소상공인 대출에 대한 좋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신용평점 710점 이상, 839점 이하의 중신용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조원의 특례보증 대출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현재 거의 모든 소상공인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취약계층만을 위한 정책자금이 출시되는 것에 대한 불공평함을 느꼈을 것입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을 비롯하여 2023년 현재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상공인 정책 지원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 신청 방법과 조건 안내 3

2023 소상공인 정책자금

현재 진행 중인 소상공인 대출 신청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소상공인 전통시장자금
  2. 저리 대환 프로그램
  3. 희망리턴패키지
  4. 희망대출,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신용대출
  5. 서울시 안심금리자금

본인에게 해당된다면 이용하실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소상공인 전통시장자금은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이번 중신용 소상공인 대출의 신용 점수 조건은 710점 이상이므로 710점 이상 744점 이하의 평점을 받았다면 이용이 가능할 것입니다.

소상공인 전통시장자금

이 프로그램은 90일 이상의 업력을 가진 자영업자 및 전통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입니다. 총 8000억 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1차 4000억 원, 2차 2000억 원, 3차 2000억 원으로 3회에 걸쳐 신청을 받습니다.

1차는 이미 조기 마감되었고, 2차는 2월 20일부터, 3차는 3월 20일부터 진행될 예정입니다. 최대 3,000만 원까지 지원되며, 고정 금리 2.0%로 5년 동안 상환하는 상품입니다. 조건이 매우 좋아 일부러 신용 점수를 낮추는 분들도 생겼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예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2차와 3차에도 조기 소진으로 마감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저신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사업입니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이용 대상을 확대하고 한도를 상향조정한 프로그램입니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한 피해를 입은 모든 소상공인이 신청 가능합니다.

개인 사업자는 최대 1억 원, 법인 사업자는 최대 2억 원까지 대환할 수 있습니다. 이미 기존 이용자가 한도 내에서 신청한 경우, 최대한 활용하시면 됩니다.

저금리 대환을 통해 3년 동안 거치기로 하고 7년 동안 분할상환할 수 있습니다. 만약 현재 7.0% 이상의 고금리로 시달리고 있다면 6.5% 이하의 저금리 대환 프로그램으로 전환해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희망시리즈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은 신용평점에 따라 세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희망대출, 희망플러스 특례보증, 희망플러스 신용대출이 있습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평점에 따라 다소 조건이 다릅니다. 평점이 높은 사업자일수록 최대 3,000만 원의 한도로 지원되지만, 기간은 2년으로 짧고 금리도 3.30%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은 대한민국 정부, 신용보증재단, 시중은행이 협력하여 출시한 소상공인 대출 상품입니다. 총 1조원의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2월 1일부터 소상공인들의 접수를 시작했습니다.

이전에 출시된 정책자금은 주로 저신용과 고신용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했지만, 이번 정책은 중간 점수를 받은 사업자를 적극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단, 신청은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보증비율 95%의 특례보증서를 받아 진행해야 합니다.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 대상

중신용 소상공인 특례보증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평점이 710점 이상, 839점 이하인 사업자
  • 업력이 6개월 이상인 사업자

대출 한도는 최대 3,000만 원이며, 금리는 5년 기준 CD금리에 1.8%를 더한 금리로 적용됩니다. 현재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금리가 5.0%로 신청 가능합니다.

최근 CD금리가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더 좋은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이번 정책은 승인 확률이 높은 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의 글로벌 경제 침체 상황에서 우리 소상공인도 힘들게 지내고 있는데, 이런 정책들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아래에 첨부한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문의처

신용보증재단중앙회 1588-7365

강원신용보증재단 033-260-0000, 033-260-0001

경기신용보증재단 1577-5900

경남신용보증재단 1644-2900

경북신용보증재단 054-474-7100

광주신용보증재단 062-950-0011

대구신용보증재단 053-560-6300

대전신용보증재단 042-380-3800

부산신용보증재단 051-860-6600

서울신용보증재단 1577-6119

세종신용보증재단 044-865-0550

울산신용보증재단 052-289-2300

인천신용보증재단 1577-3790

전남신용보증재단 061-729-0600

전북신용보증재단 063-230-3333

제주신용보증재단 064-750-4800

충남신용보증재단 041-530-3800

충북신용보증재단 043-249-5700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