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감축을 통한 현금 환급, 에너지 캐시백 신청 안내

에너지 캐시백 신청 절차: 전기요금 할인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23년 6월 7일부터, 정부가 우리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새로운 방안인 ‘에너지 캐시백’을 도입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전년 동월 대비 10%의 전기 사용량을 줄일 경우, 현금이나 다른 형태로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감축을 통한 현금 환급, 에너지 캐시백 신청 안내 3

에너지 절약 캠페인의 주요 추진 내용

이런 새로운 제도가 시행되는 가운데, 정부는 이달부터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기획재정부 1차관인 방기선씨가 열린 비상경제차관회의에서 이러한 계획을 공개하였습니다.

전기요금 감축을 통한 현금 환급, 에너지 캐시백 신청 안내 5

전기요금 인상과 에너지 캐시백 제도

이른 여름과 최근의 전기요금 인상(5월 16일)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이 부담스러운 상황에서, 정부는 에너지 절약 캠페인을 강화하고,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통해 이 부담을 줄이려는 계획입니다. 이 제도는 2023년 7월부터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전년 동월 대비 전기 사용량을 10% 감축할 경우 전기요금을 5월 인상 전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감축을 통한 현금 환급, 에너지 캐시백 신청 안내 7

에너지 캐시백 신청 방법과 환급 절차

에너지 캐시백은 2023년 6월 7일부터 온라인 포털 검색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 기존의 6개월 단위로 환급되던 방식에서 개선되어, 월별 전기요금에서 바로 차감하거나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으로 전기 사용량과 요금 수준을 확인하고, 다음 달의 예상 요금을 사전에 알려주는 서비스도 제공될 예정입니다.

취약계층 대상 에너지 바우처 지원 확대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 바우처 지원 대상은 30% 이상 확대되며, 지원 단가도 지난해 4만원에서 올해 기준 4만 3000원으로 인상됩니다.

신청은 2023년 6월 31일부터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이와 별개로, 지난해 평균 사용량인 313kWh까지의 요금 인상은 1년간 유예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동시에 전기요금을 줄일 수 있는 이 훌륭한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에너지 캐시백 신청으로 여러분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보세요!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