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스테이킹과 예치 및 디파이(Defi) 개념과 비교

암호화폐 스테이킹과 예치 및 디파이(Defi) 개념과 비교 3

스테이킹(Staking)

스테이킹 서비스의 핵심 원리

스테이킹(Staking)은 암호화폐의 지분을 일정기간 동안 고정시키는 행위로, 사용자는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함으로써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 행위는 ‘스테이크(Stake)’라는 용어에서 비롯되었으며, 이오스, 코스모스, 테조스 등에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스테이킹의 락업 상태

스테이킹을 통해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일정기간 맡기면 이를 ‘락업’상태로 표현합니다. 이때, 사용자는 암호화폐를 대가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의 합의 알고리즘

스테이킹은 ‘지분증명(PoS·Proof of Stake)’ 혹은 ‘위임지분증명(DPoS)’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가능합니다.

암호화폐 스테이킹과 예치 및 디파이(Defi) 개념과 비교 5

예치(Deposit/Savings)

예치 서비스의 특징

예치는 스테이킹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용자는 블록체인 예치 서비스를 통해 암호화폐를 보관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빗썸은 국내에서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거래소 중 하나입니다.

예치의 이자 출처

예치 서비스 사업자는 대차거래 등을 통해 이자를 충당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이 개념은 주식형 펀드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디파이(DeFi)

디파이의 개념과 급부상

디파이(DeFi)는 탈중앙화된 금융을 지칭하며 최근에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된 금융 애플리케이션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디파이의 특징 및 서비스

디파이는 스테이킹, 예치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중앙 기관 없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체인링크, 에이브, 메이커다오 등이 디파이 서비스를 대표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디파이(DeFi) 활용

디파이의 장점과 활용 분야

  1. 시간 단축: 디파이는 인터넷만으로 모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 기존 금융과 비교해 시간을 단축시킵니다.
  2. 금융기관 대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관의 역할을 대체하고자 하는 디파이는 송금, 결제, 금융상품 등을 포괄합니다.
  3. 자산 및 기금 관리 프로토콜: 분산 자산 관리 프로토콜을 활용하면 중개자 개입 없이 투자 기금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4. 교환 프로토콜: 탈중앙화된 거래소를 통해 디지털 자산을 피투피로 거래할 수 있으며, 개인 키를 완전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1 thought on “암호화폐 스테이킹과 예치 및 디파이(Defi) 개념과 비교”

Comments are closed.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