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치고산의 의미와 역사 – 일본의 아이들을 축하하는 전통 행사

시치고산의 의미와 역사 - 일본의 아이들을 축하하는 전통 행사 3

시치고산은 일본의 아이들을 기념하고 축하하는 특별한 전통 행사로, 그 의미와 역사는 깊이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시치고산의 의미와 그 역사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시치고산이란 무엇인가요?

시치고산은 일본에서 3세, 5세, 7세가 된 남자아이와 3세, 7세가 된 여자아이를 그해 11월 15일 가까운 신사나 절에 데리고 가서 그 동안 건강하게 성장한 것을 축하하는 전통적인 행사입니다. ‘시치’는 7, ‘고’는 5, ‘산’은 3으로 직역하면 753이라는 숫자가 나오는데, 이는 이 행사의 이름과 연결됩니다.

역사적 배경

시치고산은 역사적으로 어린 아이들의 생존율이 낮았던 과거에 비롯된 행사입니다. 중세 시대의 일본에서는 어린 아이들의 생존률이 낮아서 아이가 7세까지 살아남기가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7세까지의 아동 생존을 신에게 기도하고 감사하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7세 미만의 아이들은 호적에 등재되지 않았고, 7세를 넘어서야 비로소 가족의 일원으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현대의 시치고산

현대에는 시치고산은 양력 11월 15일에 맞추어 열리지만, 11월 주말에도 많이 치러집니다. 특히 추운 지역에서는 10월에 행사가 열리기도 합니다. 이 날, 아이들은 아름다운 전통복장을 입고 가까운 절이나 신사를 찾아가 참배하며, 가족들은 기념 사진을 찍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동용 기모노와 도랸세 가사

시치고산 때는 아이들에게 일본의 전통 의상인 기모노를 입힙니다. 특히 여자아이들은 화려한 후리소데를 입어 아름다움을 뽐냅니다. 이러한 기모노는 가격이 꽤 비싸기 때문에 렌탈로 대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도랸세 가사에도 시치고산의 의미와 아이들의 성장을 축하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마무리

시치고산은 일본의 아이들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고, 그들의 생존을 축하하는 소중한 전통 행사입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가정에서 사랑과 관심을 담아 아이들을 축하하며 이 특별한 순간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인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