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용신격은 사주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사주의 성격과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다양한 사주 용신격의 종류와 그 의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신강한 사주의 용신격 (군겁쟁재격)
- 개요: 이 격은 사주에 비겁과 겁재가 과다하여 인성, 비겁, 재성 등을 용신으로 쓸 수 없고 관성이나 식상이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격의 특징은 밥통이 하나 있으면 그 밥통을 차지하기 위해 싸우는 형상입니다.
- 특징: 재물이 모이기가 어렵고 고단한 상황이 많습니다. 비겁은 인성의 생을 받고, 재성을 극화합니다. 그로 인해 인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성은 강한 비겁의 극을 받아 기능을 못합니다. 따라서 식상이나 관살을 용신으로 써야 하는 이치입니다.
비겁용식상격 (식상격)
- 개요: 이 격은 비겁이 많은데 재성과 관성이 없거나 적을 때, 식상을 용신으로 삼아 비겁을 설기시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비겁은 관성의 극을 받고, 재성을 극화하며, 식상은 관성을 극화하고 재성을 활성화시킵니다. 따라서 비겁이 강한 사주에서 관성용신이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입니다.
종왕격 (일행득기격)
- 개요: 이 격은 종강격과 비슷하지만 종왕격은 비견이나 겁재가 태과한 것이고 종강격은 인성이 태과한 차이가 있습니다.
- 특징: 이 격에서는 한가지 오행이 태과할 때 그 세력을 따라 용신으로 삼는데, 종강격에서는 비겁이 강하기 때문에 비겁을 극화하거나 비겁을 설기 시키는 재성용신이나 식상용신을 활용합니다.
종강격 (종강격)
- 개요: 인성이 많아 강해진 사주로, 재성이 제1 용신후보이고, 제2 용신후보는 식상입니다.
- 특징: 종왕격과 원리는 비슷하지만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겁용재격 (비겁용재격)
- 개요: 이 격은 사주에 비겁이 많고, 식상과 관성이 없거나 적고, 재성이 어느 정도 힘을 갖출 때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재성으로 비겁을 설기 시키는 원리를 의미합니다. 관성이 있는 것과는 격차가 있습니다.
정관격 (정관격)
- 개요: 이 격은 비겁이 많은 사주에 관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강한 비겁을 극화하는 관성이 온전히 자리잡았다면 사주 흐름이 좋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성용신은 훨씬 더 강력한 작용을 합니다.
제자약살격 (제자약살격)
- 개요: 비겁이 많은 사주에 관성이 용신이 되고 재성은 관성을 활성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 특징: 부자들에게 많이 볼 수 있는 사주 구조로, 강한 비겁을 관성이 극화하고, 그 관성을 활성화시키는 재성용신이 함께 있는 경우입니다.
인중용재격 (인중용재격)
- 개요: 사주에 인성이 많아 일간을 활성화시킬 때, 사주가 지나치게 강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인성을 극화하는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인성이 많아서 일간이 강해질 때 사용되며, 인성을 극화하는 재성용신이나 식상용신이 함께 사용될 때 더 좋은 작용을 합니다.
인중용관격 (인중용관격)
- 개요: 인성이 강할 때 재성이나 식상을 용신으로 삼아야 하지만 재성이나 식상이 없거나 약할 때, 관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사주 흐름이 나빠질 가능성이 높으며, 관성이 완전하게 자리한 경우에 중화를 이루는 원리입니다.
식신재생격 (식신재생격)
- 개요: 인성이 강할 때, 재성이 용신이 되는데, 재성만으로 인성을 제어하기 어려울 때, 식상이 재성을 도와 사주 흐름을 개선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식상의 생을 받은 재성이 비겁을 설기시키는 작용을 하며, 식상은 희신의 작용을 하는데, 이때 식상은 재성이 약할 때 더 큰 작용을 합니다.
종아격 (종아격)
- 개요: 사주 원국이 식신과 상관으로만 이루어진 경우, 용신을 식상 중에 하나로 쓸 수밖에 없으며, 종을 따라감을 의미합니다.
- 특징: 종아란 아랫사람과 자식을 상징하며, 이상적인 사주 구조로 강한 관성으로 구성된 경우입니다.
상관용겁격 (상관용겁격)
- 개요: 사주 원국에 식신과 상관이 많은데 인성이 부족할 때, 비겁을 용신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비겁이 강하면 그만큼 사주가 힘들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격은 최상책이 아닌 차선책입니다.
상관용인격 (상관용인격)
- 개요: 사주 원국에 식신과 상관이 많아 신약할 때, 억부에 원리에 따라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사주 흐름이 나쁠 가능성이 낮고, 인성은 식상을 바로 극화할 수 있으며, 일간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종재격 (종재격)
- 개요: 사주 원국에 재성이 강한데 다른 방법이 없을 경우, 세력에 의해 종하여 재성을 용신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이 격은 사주 흐름이 안 좋을 가능성이 높으며, 드물게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재중용비겁격 (재중용비겁격)
- 개요: 사주 원국에 비겁이 많아 재성이 강할 때, 비겁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비겁도 강하고 재성도 강할 때 사용되며, 균형이 맞는다면 재물운이 있는 사주가 될 수 있습니다.
재중용인격 (재중용인격)
- 개요: 사주 원국에 재성이 강한데 재성을 극화하는 비겁이 약할 때, 인성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이 역시 최상이 아닌 차선책으로, 사주 격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상제살격 (식상제살격)
- 개요: 사주 원국에 관성이 강하고, 비겁과 인성이 약할 때, 식상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관성을 극화하는 원리로, 전체적으로 좋은 작용을 합니다.
종세격 (종세격)
- 개요: 사주 원국에 식상, 재성, 관살 등이 균형을 이룰 때, 종하는 원리로 셋 중 용신으로 삼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큰 의미는 없어 보이며, 드물게 발생하는 격입니다.
살중용비겁격 (살중용비겁격)
- 개요: 사주 원국에 관성이 가득한데 인성이 없어서 대신 비겁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간단히 말하자면 비겁도 강하고 관성도 강할 때, 비겁을 용신으로 쓴다는 것입니다.
살중용인성격 (살중용인성격)
- 개요: 사주 원국에 관성이 세력이 강할 때, 관성을 활성화시키는 인성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를 말합니다.
- 특징: 인성을 극화하는 역할을 하며, 사주 흐름을 조절합니다.
요약
사주 용신격은 사주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사주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각각의 용신격은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용신을 설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개개인의 사주를 더 잘 이해하고, 운명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