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4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3](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1/Screenshot-2024-01-23-at-01.04.13.jpg)
부가세 신고기간과는 무엇인가요?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을 정확히 알고 계시나요?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가 신고 기간으로, 모든 자료는 이 기간 내에 신고되어야 합니다.
1. 부가가치세 신고의 의미
부가가치세 신고를 세무사무실에 맡기는 경우 필요한 서류는 무엇일까요? 매출, 매입 세금계산서, 카드 매출, 인터넷 매출, 현금영수증 등의 내역을 세무사무실에 제출해야 합니다.
- 매출/매입 세금계산서: 전자 및 종이로 발행되며, 종이 세금계산서는 꼭 보관해야 합니다.
2. 부가세 계산 방법
부가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한 값입니다. 즉, 부가가치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6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5](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1/Screenshot-2024-01-23-at-01.04.17.jpg)
신고 대상 사업자의 종류
모든 사업자는 부가세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일반과 간이과세자로 분류되며, 연간 매출액에 따라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로 나뉩니다.
1.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차이
- 일반과세자 : 연간 매출액 8천만 원 이상, 10% 세율 적용, 매입 세금계산서 공제 가능
- 간이과세자 : 연간 매출액 8천만 원 이하 또는 부동산임대업 사업자는 4800만 원 미만, 낮은 세율 적용, 매입액의 0.5%만 공제 가능
부가세 신고기간
부가가치세는 6개월을 과세기간으로 나누어 신고 및 납부되며, 일반과 간이과세자로 나눠진다. 납부는 신고 기간 마지막 날 다음날부터 25일간 이루어진다.
1.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기간
- 제 1기 : 1월 1일 ~ 6월 30일 (예정신고: 01.01 ~ 03.31, 확정신고: 01.01 ~ 06.30)
- 제 2기 : 7월 1일 ~ 12월 31일 (예정신고: 07.01 ~ 09.30, 확정신고: 07.01 ~ 12.31)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8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7](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1/Screenshot-2024-01-23-at-00.59.53.jpg)
2. 간이과세자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 과세기간 : 1월 ~ 12월
- 신고 및 납부 기간 :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10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9](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1/Screenshot-2024-01-23-at-01.00.03.jpg)
가산세와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부가세 신고를 기한 내에 못하거나 내용이 잘못된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부가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를 통해 직접하거나 세무대리인에게 위임하거나 부가세 신고 서식을 작성하여 세무서에 제출하는 세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12 부가세 신고기간과 부가가치세 신고 방법 개인사업자 및 간이과세자 11](https://late.kr/wp-content/uploads/2024/01/Screenshot-2024-01-23-at-01.01.13.jpg)
부가가치세 신고방법: 홈택스 무실적 신고
- 국세청 홈택스에 접속 : 메인 화면에서 ‘정기 신고 바로 가기’를 선택합니다.
- 사업자 정보 입력 :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하고 해당 정보를 확인한 후 ‘저장 다음 이동’을 클릭합니다.
- 무실적 신고 선택 : 실적이 없는 경우 ‘무실적 신고’를 선택하고 작성을 완료한 뒤 제출합니다.
마무리로, 무실적인 경우 편리하게 홈택스를 이용할 수 있지만, 매출이 많은 경우 세무대리인을 통해 정확하게 신고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부가가치세 신고는 정확한 정보 제출이 필요하므로 유의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