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 수지 증후군 증상, 원인, 치료 방법, 방아쇠 수지 증후군이란? 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손가락을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이 붓고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펴는 것이 어려워지며, 동작을 할 때 ‘딸깍’하는 소리가 납니다. 이로 인해 방아쇠 수지(Trigger Finger)라고 불립니다. 만약 이 질환을 방치하게 되면 신경이 손상되어 손가락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원인
- 특정 도구나 장비를 오랜 시간 사용하는 직업(운전사, 정비사, 요리사, 주부)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 반복적인 손가락 마찰로 인한 운동(골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관절염이나 통풍과 같은 2차적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증상
- 손가락 관절 마디가 붓고 염증이 생깁니다.
- 아침에 일어났을 때 손이 뻣뻣하고 경직된 느낌이 듭니다.
- 아픈 손가락의 손바닥 쪽을 누르면 통증이 발생합니다.
- 손가락이 제대로 펴지지 않고, 억지로 폈을 때도 구부러지지 않습니다.
- 손바닥과 손가락을 연결하는 관절 부위에 통증과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마찰음이 딸깍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 손가락을 구부리려고 하거나 펴려고 할 때 걸림이 있는 느낌이 들고, 방아쇠를 당기는 듯한 튕김 현상이 발생합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치료 방법 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증상의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구분됩니다.
- 비수술적 치료법
-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면 증상이 개선됩니다.
- 손가락의 잠금과 구부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자면서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약물 치료와 물리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해지면 염증이 있는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와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시도해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 경우, 반복적인 주사 치료는 부작용과 합병증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수술적 치료법
- 수술적 치료법은 손바닥에 약 1cm 정도의 절개를 하고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를 열어주는 간단한 수술입니다.
- 수술을 통해 힘줄이 통로를 지날 때 마찰이 사라지고 염증이 사라지면서 손 저림증상이나 통증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장기적인 운동 기능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손가락 관절에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