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에서 OneDrive(원드라이브)를 삭제하는 간단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원드라이브의 불편함과 삭제의 필요성
윈도우를 사용하다보면 원드라이브가 자주 뜨면서 번거로움을 느낄 때가 있습니다. 로그인 유도나 불필요한 팝업 창이 나타날 수 있어,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드라이브를 삭제하는 것은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 방일 것입니다.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활용한 삭제 방법
-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열기먼저, 윈도우 키를 누르고 실행창에 “gpedit.msc”를 입력합니다. 이로써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가 나타납니다.
- 로컬 컴퓨터 정책 설정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OneDrive
- 편집을 통한 설정 변경해당 폴더에 진입한 후, 우클릭하여 “편집”을 선택합니다. 나타나는 창에서 “OneDrive를 파일 저장소로 사용 방지” 옵션을 찾습니다. 설정이 “구성되지 않음(C)”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E)”로 변경한 후 확인을 누르면 원드라이브가 더이상 보이지 않게 됩니다.


정리
이 방법은 윈도우 8 기준이며, 윈도우 10의 경우 자체적으로 삭제가 가능합니다. 원드라이브의 번거로움으로부터 해방되고 시스템의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의 단계를 따라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