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밤에 울음의 원인
생후 반년 무렵부터 1세 반 무렵까지 아이가 밤에 울기 시작하는 것을 “야제증”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밤에 울음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기저귀가 더러워진 것도 아니고 배도 고프지 않은데도 아이가 왜 울까요? 이런 의문 때문에 엄마들은 고민하게 됩니다.
원인을 모르기 때문에 엄마도 밤에 우는 아기와 어떻게 마주해야 할지 고민하게 될 것입니다.
밤에 울지 않는 아이도 있을까요?
매일 밤 우는 아이에 비해 밤에 울지 않는 아이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물론, 밤에 울지 않는 아이들도 있으나 그 특징이나 경향에 대해서는 현재 의학적으로 실증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밤에 울거나 말거나, 밤에 우는 빈도나 기간 등은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우리 아이는 밤에 울기만 해서…’라며 아기의 성장에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모유보다 우유 먹인 아이가 밤 울음이 적다는 게 정말일까?
모유보다 분유를 먹인 아이가 밤에 울음이 적다는 주장도 있지만, 이는 주로 엄마의 컨디션을 감안해 야간 반회 수유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언입니다.
원인을 모르는 밤에 울음과는 무관하며, 완전 모유 수유를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도 괜찮습니다.
성격이 온화한 아이는 밤에 울음도 적다는 게 정말일까?
일부 아이들은 외로움을 잘 타거나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밤에 울기 쉬운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의학적인 근거는 없으며, 신경질적인 아이든 온화한 아이든 밤에 울음을 터뜨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아이는 밤에 심하게 울어서 신경질적인가 봐”라며 고민할 필요는 없습니다.
남자 아이보다 여자 아이가 밤에 울기 쉽다는 게 정말일까?
남자 아이보다 여자 아이가 밤에 울기 쉽다는 주장도 있지만, 의학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성별에 따라 밤에 울음의 차이는 없으며, “남자이니까” 또는 “여자이니까”라고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밤에 울음을 개선하는 방법
밤에 울음을 개선하기 위해 생활 리듬을 정돈하는 것은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밤에 우는 것과는 또 다른 문제입니다.
그러나 아기의 수면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주변 환경을 아기가 안정할 수 있도록 조성하고, 아기를 깨워서 기분을 전환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밤에 우는 아이와 잘 지내는 방법
아기의 밤 울음은 원인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불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장과 함께 점차 안정되기 때문에 잘 지켜보면서 대해야 합니다.
밤에 울 때는 주변의 이해를 얻고, 아기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며, 가족과 협력하여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엄마가 재충전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 아기의 울음을 엄마 탓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